인공지능에 대한 생각.

잡설 | 2017. 8. 2. 08:17
Posted by 메가퍼세크

2016년 3월, 구글의 바둑 프로그램인 알파고는 이세돌을 4:1로 이겼고

2017년 5월에는 커제를 3:0으로 이기고

그 직후, 자가 대국의 기보 50국을 공개해서 바둑의 역사를 뒤집어놓았다.


수십 년 동안 몸을 바쳐 연구해왔던 성과가 하루아침에 날아간 바둑 기사들의 좌절도 상당하겠지만 수백 년 동안 쌓아온 인류의 바둑 지식과, 그보다 훨씬 오래되었을 인류의 추리 능력의 일각이 정복당한 것에 비하면 오히려 사소한 충격이라고 볼 수 있을 것 같다. 이 역사에 남을 만한 사건은 인간에게 어떤 의미를 가지고 있을까.


다행히, 이런 일이 완전히 처음인 것은 아니다. 주먹도끼의 발명에서부터 계산기와 컴퓨터에 이르기까지, 인간은 항상 도구를 사용해 자신의 능력을 보충해 왔고, 그 도구의 능력이 자신을 아득히 추월하는 경험은 한두 번 해본 것이 아니다. 아무리 힘이 센 사람이라도 기중기의 힘을 이길 수는 없고, 수십 년 동안 직물을 짜온 사람도 기계보다 빠르게 직물을 만들 수는 없으며, 사칙연산이 아무리 빨라도 컴퓨터나 계산기 안에서 오가는 전류의 속도보다 빠를 수는 없다. 도구가 인간의 능력을 앞지를 때마다 문명은 크게 발전했고, 그에 따라 수많은 사람의 재능과 능력이 쓸모없는 것이 되곤 했다.


그러나 그 많은 자존심의 소멸보다 이번 사건이 더 충격적인 것은, 이번에 추월당한 능력에 인간의 가장 큰 자존심과 자부심이 걸려 있었기 때문일 것이다. 애초부터 대부분의 동물보다 느리고, 힘도 약하고, 민첩하지도 못한 약한 호모 사피엔스라는 동물의 입장에서 스스로의 힘이나 속도에 대한 집착은 그렇게까지 크지 않았지만, 그런 약한 동물이 지구의 지배자가 될 수 있게 해 준 두뇌의 지능과 문제 해결 능력은 절대 추월당하고 싶지 않은 자존심 중 하나가 아니었을까. 물론 계산기나 컴퓨터는 그런 능력의 지엽적인 부분을 더욱 수월하게 해 주었지만, 그럼에도 문제 해결의 핵심적인 부분을 인간에게 의존해야 한다는 점 때문에 인간의 자존심을 건드리지는 않았다. 게다가 인간이 관측 가능한 우주에 대한 어느 정도 광범위한 탐사에서도 지능은 발견되지 않았고, 고도의 지능이라는 것이 우주에서 유일무이하게 인간에게만 주어진 대단한 능력이라는 허영 섞인 의식이 자리잡았던 것 같다.


하지만 이제 그 지구상에서 독보적인(이었던) 문제 해결 능력의 한 영역에서 인간은 자신이 만들어낸 기계에게 더없이 완벽하게 패배했고, 심지어 자신이 수백 년 동안 연구한 모든 것(포석과 정석)을 넘어서는 새로운 개념들을 발견해 버렸으니... 인간의 가장 큰 자존심에는 이미 돌이킬 수 없을 정도로 큰 상처가 남아 버렸다.


물론 아직 이 상처를 축소할 수 없는 것은 아니다. 인공지능이 이루어낸 놀라운 성취는 인간의 손으로 그 목표를 한정하고, 그 목표를 달성할 수 있도록 학습시켰기에 가능했던 것이므로. 인간의 자존심을 긁어버린 이 우월한 동물은 인간의 손으로 키워진 가축일 뿐이고도 생각할 수 있다. 하지만, 언젠가 '목표를 설정하는' 능력조차도 인공지능의 것이 된다면, 과연 세상은 어떻게 변할까.

'잡설' 카테고리의 다른 글

황교익에 대한 생각  (0) 2018.10.03
인공지능이 예술에 관심을 가진다면  (0) 2018.03.04
허세에 대하여  (0) 2016.02.14
'위플래쉬' 와 잔혹 동시집 사태에 대한 생각  (0) 2015.05.25
여유와 휴식에 대하여  (0) 2015.04.14
 

블로그 이미지

메가퍼세크

왠지 모르게 말하고 싶어진 것들을 쌓아두는 곳.

카테고리

분류 전체보기 (68)
자아성찰 (13)
취미 (31)
경험 (4)
잡설 (14)
보관소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