선함이라는 것.

자아성찰/가치관 | 2016. 10. 24. 17:24
Posted by 메가퍼세크

대학교에 다닐 때, 토론 수업 중 상대편을 화나게 한 적이 있었다.


'인간은 이타적일 수 있는가?'라는 주제로 찬성과 반대 측으로 나뉘어 서로 주장을 펼치고 있었는데, 반대 측에 있었던 내가 그 즈음 일어났던 아이티 지진 사태를 주제로 이런 이야기를 했던 것이다.


"아이티 주민들을 위해 봉사하겠다고 직접 비행기를 타고 날아가 돕는 사람들이 있다. 그런데 상식적으로 생각해 보면, 지구 반대편인 이곳에서 비싼 비행기 표값을 감수하며 날아가 얼마 안 되는 노동력을 제공하는 것보다 그 돈을 직접 기부하는 것이 더 많은 사람들을 구하는 길이라는 것을 알 것이다. 사람들이 타인을 도울 때 효율적인 방법보다 자신이 만족감을 느낄 수 있는 방법을 택한다는 것이야말로, 인간이 진정으로 이타적일 수 없다는 가장 명확한 증거가 아닌가?"


벌써 꽤나 오래된 일이지만, 그 일이 아직도 기억나는 이유는 평소 봉사활동을 하던 상대편 토론자의 진심으로 빡친 표정과, 그 때의 내 말 속에 '선함' 이라는 개념에 대해 내가 가지고 있던 인식이 가장 명확하게 드러나고 있다는 것을 스스로 인지한 것 때문이라고 생각한다. 아주 어렸을 때, 아마 선함이라는 개념을 처음 인지했을 때부터, 나는 그 개념이 정말 불완전하고 애매함 투성이라고 생각했으니까.


애초에 아이들에게 선함을 가르치기 위한 교본으로 주로 사용되는 동화나 위인전에서부터, 그 개념의 모순은 도저히 숨길 수 없이 그 모습을 드러내고 있었다. 가난하고 힘없거나 성실하며 순박한 것으로 그려지는 선한 등장인물과 못생기고 탐욕적이며 강한 힘을 가진 악한 등장인물의 대립 구도는 구역질이 날 정도로 작위적이었고, 두루뭉실하게 무조건 착한 것으로 기술되던 선역들이 결말에 가서는 악역들이 그들의 행동에 대한 '업보' 를 받도록 방치하는 권선징악의 스토리라인 또한 도무지 마음에 들지 않았다. 선과 악에 대한 여러 이야기들은 결국 세상을 '착함'과 '악함' 이라는 두 편으로 가르고 한 편의 행동양식을 따라 살면 상을 받고 다른 편으로 살면 벌을 받는다고 주장하는 일종의 예언으로 보였고, 그런 예언은 결국 한쪽 편에 대한 피해의식과 증오에 가득찬 푸념으로 비춰졌다.


하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주로 선함의 영역에 속한다고 생각되는 성실함과 끈기, 이타심과 겸손함 같은 특질들은 내 관점에서도 제법 일리있고 괜찮다고 생각되어, 어느 순간부터 선함이라는 개념에 대해 내 나름대로 정의하려고 시도하기 시작했던 것 같다.단순히 가볍게 말할 수 있는 선함이 아닌, 나 자신이 한 점의 의심도 없이 확신할 수 있는 확실하고 당당한 기준을 만들기 위하여.


그리고 그 첫 걸음으로 생각했던 것이, 바로 이타성의 문제였다. 내 이익에 관계없이 누군가를 돕는 것이야말로 가장 기본적이고 보편적으로 받아들여지는 선의 개념이지만, 과연 정말로 그런 것이 가능할까? 나는 이 문제에 대해 상당히 부정적이었다.


결국 사람의 행동은 (극히 예외적인 사례들을 제외하면) 의식적이든 무의식적이든 그 행동으로부터 얻거나 잃을 것에 대한 계산에 의해서 이루어지는 것이고, 이타적인 행동의 결정 또한 결국 이런 매커니즘을 벗어날 수 없다는 것. 공개적으로 이루어지는 선행이라면 타인에게 나의 선함을 보이고 싶다는 욕구의 발현일 수 있고, 완전히 비공개적으로 이루어지는 선행이라도 '선행을 했다' 는 사실에 대한 자기만족의 틀을 벗어날 수 없다는 것이 나의 생각이다. 아무리 아무도 알아주지 않는 고통과 손해를 감수하면서 선행을 수행했다고 할지라도, 결국 그 행동의 동기는 '그 큰 고통과 손해보다 이 행동의 가치가 크다' 는 계산에 기반하지 않는가.


이런저런 생각의 흐름의 끝에 도달한 결론은, 선함과 악함이란 결국 개인이 가지고 있는 여러 가치의 리스트에 불과하다는 것이었다. 물에 빠져 허우적대는 사람을 구하는 것은 단지 그 사람을 구해서 얻을 수 있는 자신의 만족감이, 그 사람을 구하기 위해 소요되는 시간과 노력, 그리고 위험성에 비해 크다고 판단되었을 때 행하는 행동일 뿐. 구하지 않는 것도 단지 그 반대의 경우일 뿐.


물론 그런 계산의 기준들은 사회적인 선함의 기준에 따라 많은 영향을 받을 수 있고, 많은 사람들은 그 영향을 합쳐 자신이 수립한 기준들에 따라 계산을 수행할 것이다. 단지 나는, 내가 하는 행동들이 그런 관념과 당위성에 의거하고 있다고 말하기보다 그저 '내가 그러고 싶어서' 라는 좀더 솔직한 기준들에 의거하는 것이 좀 더 떳떳하다고 생각했다. 곤란해하고 있는 사람을 도와주는 것과, 차가 오랫동안 오지 않는 횡단보도를 빨간불에 건너는 행동은 모두 단순히 '내가 그러고 싶어서' 라는 제멋대로인 이유에 의한 것이고, 그 행동에 대한 뿌듯함이나 죄책감 같은 건 딱히 생각하지 않겠다는 것. 나로서는 이것이야말로 가장 논리적이고, 당당하고, 당연한 결론이었다.

'자아성찰 > 가치관' 카테고리의 다른 글

분노와 문제 해결  (0) 2017.12.25
문제를 해결하기 어려운 이유.  (2) 2017.09.11
투표: 선택의 문제에 대하여  (0) 2016.09.26
군중심리와 동기의 순수성  (4) 2015.11.15
종교에 대한 생각  (0) 2015.03.05
 

블로그 이미지

메가퍼세크

왠지 모르게 말하고 싶어진 것들을 쌓아두는 곳.

카테고리

분류 전체보기 (68)
자아성찰 (13)
취미 (31)
경험 (4)
잡설 (14)
보관소 (4)